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숨은 돈 찾기 총정리! 휴면계좌, 휴면보험금 확인방법

by 개성공장 2022. 10. 8.
반응형

현대사회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상품과 금융서비스들은 점점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어서 모두 파악하고 살아간다는건 매우 어려운 일이죠. 그러다보니 나도 모르게 쌓여있는 카드포인트를 잊고 지낸다거나 예금이나 보험금이 휴면 상태로 잠들어있는 일들도 생깁니다.

 

이런 숨은 돈을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을지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휴면계좌 통합조회 시스템

 

1. 은행 휴면계좌 조회 - 은행연합회

 

첫번째는 은행연합회에서 제공하는 휴면예금, 휴면보험금 조회 서비스입니다. 전국은행연합회는 은행들이 모여 설립한 기구로 은행 간의 업무협조를 위해 만들어진 곳입니다. 우리가 은행을 하나하나 방문해서 조회한다면 숨겨진 계좌를 찾을 수 있겠지만 그러면 시중은행 전부를 돌아다녀야겠죠. 그런 금융소비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은행들이 협력하여 만든 서비스입니다.

 

전국은행연합회 - 휴면계좌 통합조회 시스템

 

전국은행연합회 / 휴면계좌 통합조회 시스템

 

sleepmoney.or.kr

 

은행연합회에서 제공하는 휴면계좌 통합조회 시스템에 접속하면 은행, 우체국, 보험사, 서민금융진흥원에 등록된 휴면계좌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휴면계좌 조회하기

 

휴면계좌 조회하기 항목에 성명,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다음으로 은행연합회에 개인정보를 제공한다는 동의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공동인증서로 인증하면 조회가 됩니다.

 

조회 결과

 

아쉽게도 휴면계좌는 없네요. 조회결과에는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우체국, 서민금융진흥원의 휴면계좌가 조회되고, 예금보험공사 고객 미수령금이 같이 조회됩니다.

 

 

휴면예금 조회서비스

 

2. 저축은행 휴면예금 조회 - 저축은행중앙회

 

앞서 은행, 보험 휴면계좌를 살펴봤으니 저축은행 휴면계좌도 살펴봅시다.

 

저축은행 휴면예금조회서비스

 

휴면예금조회

휴면예금조회서비스

sleepmoney.fsb.or.kr

 

마찬가지로 이름, 주민번호 입력 후 인증서 인증을 하면 조회가 완료됩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공인인증서뿐만 아니라 휴대폰 인증도 지원하네요.

 

휴면예금조회

 

인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옵니다.

 

조회 결과

 

아쉽게도 하나도 없네요.

 

 

3. 휴면예금 찾아줌 -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진흥원에서도 휴면예금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은행, 저축은행 등의 휴면예금은 무거래 5년(휴면보험금은 3년)의 소멸시효가 완성되고 고객이 찾아가지 않으면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출연됩니다. 여기서는 모든 휴면예금이 조회되는 것은 아니고 서민금융진흥원이 출연된 정보가 조회됩니다. 즉, 소멸시효가 완료된 오래된 예금이 조회대상인 것이죠.

 

앞에서 살펴본 1번, 2번의 은행연합회,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조회한 정보는 소멸시효 전의 정보와 소멸시효 후의 정보가 모두 조회됩니다. 즉, 앞서 1, 2번에서 조회를 했다면 3번의 서민금융진흥원의 휴면예금 찾아줌 서비스에서 조회를 해도 보통은 새로운 정보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일단 해봅시다.

 

서민금융진흥원 휴면예금 찾아줌

 

서민금융진흥원 휴면예금 찾아줌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휴면 예ㆍ보험금 조회 및 지급신청 등

sleepmoney.kinfa.or.kr

 

서민금융진흥원 휴면예금 찾아줌 홈페이지에서 '휴면예금 관리'>'휴면예금 조회 및 지급신청'에 들어갑니다.

 

휴면예금 찾아줌

 

위 화면에서 '서비스 이용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에 동의를 해줍니다.

 

공동인증서 인증

 

다음은 공동인증서 인증입니다. 인증을 완료하면 결과가 나옵니다.

 

휴면예금 조회 결과

 

역시나 없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1천만원 이하 휴면계좌에 대해서는 지급신청이 바로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렇게 숨어있는 계좌, 휴면보험금, 휴면예금을 찾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카드포인트, 미수령주식, 미환급공과금 같은 다른 숨은 돈 찾기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