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핸드폰으로 카카오톡 데이터를 백업하면 대화내용은 정상적으로 백업이 됩니다. 그러나 대화방의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 미디어 파일은 최근 1주일 이내 파일만 백업이 되죠. 하지만 카카오톡 톡서랍 서비스를 사용하면 모두 백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월 2,200원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1달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목차
1. 1달 무료인 이유
월 2,200원인 서비스를 어떻게 하면 1달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바로 PC를 통해 웹에서 가입하면 됩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설치된 앱은 모두 유료결제 시 구글에 수수료를 내야합니다. 카카오 입장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가입하면 구글에 수수료를 줘야 하니 1달 무료 옵션을 주면 손해가 됩니다. 그래서 구글에게 수수료를 안 내도 되는 웹 상에서는 1달 무료 정책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래서 카카오톡 어플에서 가입하면 2,200원이지만 웹에서 PC로 가입하면 첫 달 무료에 월 1,900원의 요금만 납부합니다.
2. 톡서랍 플러스 가입방법
톡서랍 플러스에 가입하기 위해 카카오톡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카카오에서는 구독형 서비스를 위한 My구독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1. My구독 접속
위 링크로 카카오의 My구독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톡서랍 플러스에 들어갑니다.
정말 PC에서 인터넷으로 들어가니까 첫 달 무료에 가격도 싸졌습니다. 이게 다 구글의 수수료 정책 때문입니다.
로그인을 합니다. QR코드를 통해 로그인도 가능합니다. QR로그인을 하더라도 비밀번호는 알아야 로그인이 됩니다.
2-2. 톡서랍 플러스 구독
하단의 '첫 달 무료로 시작하기'를 선택합니다. 톡서랍 플러스는 용량 별로 금액대가 다릅니다. 카카오톡 백업을 하기 위해 가입하는 것이니 백업용량을 파악하고 용량을 골라야겠죠. 보통은 100GB로도 충분할 겁니다.
용량을 선택 후 톡서랍 플러스 구독하기를 선택합니다.
구독을 시작하면 첫 1달은 무료지만 1달이 지난 시점부터 자동으로 결제가 됩니다. 따라서 백업 목적이라면 카톡 백업을 완료한 후에 해지해야 합니다.
어차피 한 달 무료사용을 하고 해지할 것이기 때문에 어떤 결제수단으로 하든 관계는 없습니다. 다만 카드나 다른 옵션은 결제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그냥 카카오페이 머니를 선택하는게 편리합니다.
핸드폰의 QR 인식을 통해 결제합니다.
3. 대화/미디어 백업하기
카카오톡에서 더보기>설정>채팅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대화/미디어 백업하기를 선택합니다. 이 옵션은 톡서랍 플러스 구독 중에만 백업이 가능합니다.
이후 톡서랍 플러스 MY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6자리 숫자로 입력합니다. 이후 복원코드까지 모두 잘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데이터 백업이 진행됩니다.
미디어 파일까지 전부 백업되므로 데이터 전송량이 많습니다. 가능하면 WiFi 환경에서 백업을 진행하는 게 좋습니다. 무선으로 파일이 업로드되므로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그래도 카카오톡 서비스를 이용해서 백업하는 것이라 USB로 직접 폴더의 내용을 옮기는 것보다는 좀 더 믿을만한 것 같습니다.
※ 톡서랍 가입하지 않고 카톡 백업하는 방법!
카카오톡 톡방 사진 동영상 백업 방법(톡서랍 없이 무료로)
'생활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톡서랍 플러스 해지방법(카톡 대화내용 백업 후 삭제) (0) | 2023.04.09 |
---|---|
뤼튼 AI 사용법, 카카오톡 기반 챗봇 한국형 ChatGPT (0) | 2023.04.08 |
카카오톡 톡방 사진 동영상 백업 방법(톡서랍 없이 무료로) (1) | 2023.04.06 |
한글 입력할 때 자음, 모음이 분리되는 오류 해결방법 (0) | 2023.04.05 |
[ChatGPT] 그림AI를 이용해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