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학] 소호리액터 접지에서 과보상 해야하는 이유
왜 소호리액터 접지에서 과보상을 해야할까?
중성점 접지 방식에는 비접지 방식, 직접접지 방식, 저항접지 방식,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은 중성점 접지선에 소호코일을 삽입하여 접지하는 방식이다.
비접지 계통에서의 지락전류 Ig가 충전전류이므로 중성점 접지선에 소호코일을 삽입하면 위상이 반대인 유도성 전류가 흘러 L-C 병렬공진을 이용하여 지락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
지락사고가 일어나도 지락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아 지락전류로 인한 유도장해가 발생하지 않고, 과도안정성이 우수하다. 고장 중에도 계속하여 송전을 할 수 있으며 경미한 고장의 경우 스스로 복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3상 중 어느 한 선이 단선되게 될 경우에 소호코일과 대지정전용량의 직렬 공진으로 인해 이상전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직렬 공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호리액터가 완전 공진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wL 과 1/3wCs 값을 서로 다르게 해주어서 IL값과 Ic값이 같이 않도록 해야한다. 지상전류 IL이 충전전류 Ic보다 큰 경우를 과보상, 작은 경우를 부족보상이라고 하는데 과보상과 부족보상 둘 모두 대안이 될 수 있으나 과보상을 해야만 한다.
부족보상의 경우 IL < Ic 인데 이는 곧 wL > 1/3wCs 인 경우이다. 그러나 단선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대지정전용량이 2Cs로(혹은 1Cs로) 줄어드므로 wL > 1/2wCs가 되어 우측 값이 커지므로 두 값 사이의 차가 좁혀져서 직렬 공진이 발생할 수가 있다. 하지만 과보상을 할 경우에는 단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두 값의 차가 오히려 더 벌어지기 때문에 직렬 공진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